- DV(Design Verification) : 설계 검증 단계. Prototype Model의 설계 내용이 개발 목표, 기준에 부합한지 확인
- PV(Product Validation) : 제품 유효성 검사 단계. 위 DVR의 미결항목 개선을 통해 기능/동작/성능/신뢰성 Test를 통해 시생산/판매 준비 완료 여부 점검
- PRA(Production Readiness Approval) : 양산 승인 단계. 시제품(PR Set)의 결과를 점검하며 과제 목표 달성 여부 및 양산 가능 여부 승인
- MP(Mess Production) : 양산
- MVP(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 요건 제품. 고객에게의 검증을 위해 구현하고자 하는 제품의 핵심적인 가치를 골라 최소한의 기능만을 담아낸 제품
- Prototype과 MVP의 차이
- Prototype : 개발 초기에 설계, 기능 등의 시연 및 평가가 목적
- MVP : 시장 진입 단계에서 시장에서의 검증과 사용자 피드백 수집이 목적. 실제 사용자가 사용
Design -> DV -> PV -> PRA -> MP
- 위 내용은 회사 / 분야마다 다를 수 있다
참고 자료 : https://www.waveon.io/blog/why-mvp
MVP(Minimum Viable Product)의 뜻과 MVP 테스트가 꼭 필요한 이유
스타트업 창업을 하려고 보니 내가 가진 창업 아이템이 시장에 먹힐 만한 건지 모르겠다.창업을 꿈꾸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시장성에 대한 고민을 하기 마련입니다.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는데
www.waveon.io
https://blog.naver.com/rockejoa/220081955016
개발프로세스용어
PLC 마일스톤한 단계(Stage)를 완료하고 다음 단계의 진행을 위하여 완료하고자 하는 단계의 목표대비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boltnnut_korea/222212624503
[제조사전] 최소 요건 제품(MVP)을 이용한 제품 개발 방법.
안녕하세요 믿을 수 있는 제조 전문가 매칭 플랫폼 볼트앤너트입니다. 어제 눈 온 후에도 모두 건강하신지...
blog.naver.com
https://stackmoney.tistory.com/130
제품 개발 단계 별 프로세스 정의 (DV PV PRA SRA MP)
DIA (Development Investment Approval) 상품기획 확정승인 Analyz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Plan Document (DPD) and approve progression into Development Stage 마켓조사, 기술조사, 고객 조사를 통한 마켓의 요구사항 평가 및 개
stackmone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