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nrush Current란
- 회로에 전원 인가 시 발생하는 급격한 전류
- 일반적으로 전원 회로 구성 시,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커패시터를 사용함
- 회로에 최초로 전원 인가 시, 커패시터는 방전되어있어 아래와 같이 급격한 전류가 발생함
- 커패시터의 용량과 인가 전압이 클 수록 Inrush Current의 크기가 커짐
- 이 Inrush Current가 시스템의 정격전류를 넘어설 경우 과열 등으로 인한 회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
해결 방법
- 커패시터의 용량을 감소시킬 경우 돌입 전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
- 단 용량을 줄일 경우 전원의 안정성이 떨어짐 : dV/dt를 줄여야 함
- 이때, 인가 전압은 회로 시스템에서 정해지므로, dt를 늘려야 함
- dt는 커패시터의 충전 속도 : 시정수 활용 가능
해결 방법 1 : 저항 사용
- 저항을 전원과 커패시터 사이에 삽입해 시정수를 늘려 dV/dt를 줄일 수 있음
- 단 이러한 방식은 저항에 의한 전력 소모가 심해져 부하저항에서 소모하는 전류가 작은 회로에서만 사용 가능
해결 방법 2 : Thermistor(NTC) 사용
-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 온도와 저항값 반비례
- 전원 인가 초기에는 PCB 보드가 열을 받지 않음 : NTC Thermistor 저항값 큼
- 이로 인해 돌입전류가 매우 작아짐 : 전력 소모 커짐
- 이후 PCB가 동작하며 열을 받고, 이로 인해 NTC Thermistor 값이 감소해 전력 소모량이 줄어듦
- 단 이 방식의 경우, On/Off가 자주 일어나는 시스템에는 부적합
- PCB의 온도가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 인가 시 저항값이 작아 돌입 전류가 다시 커짐
해결 방법 3 : Inductor 사용
- Inductor는 고주파의 흐름을 제한 : 순간적인 돌입전류 억제 가능
- 돌입전류는 고주파수를 가진 AC 신호 : 높은 Impedance를 갖는 Inductor를 통해 차단 가능
참고 자료 :
#30. 돌입 전류(Inrush current)에 대한 이해 및 해결 방법
돌입전류란 전원 인가 시 발생하는 급격한 전류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전원 회로를 구성할 때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용량이 큰 커패시터를 사용합니다. 커패시터 용량이 크면 노이
analog-circuit-design.tistory.com
https://kimyoin.tistory.com/15
돌입전류의 개념, 돌입전류란?
안녕하세요 여러분 김요인입니다!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돌입전류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전자기기든 회로든 정해진 정격전류와 정격전압이 존재하는데 항상 예외의 경우는 있는 법이기에
kimyoin.tistory.com
728x90
반응형
'Study_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B 충전 (1) | 2025.05.23 |
---|---|
State Machine 이란 (0) | 2025.05.01 |
Thread란 (0) | 2024.07.09 |
Nelder-Mead Algorithm 이란 (0) | 2024.05.03 |
Unscented Kalman Filter란 (0) | 2024.02.13 |